본문 바로가기

OS-서버/리눅스-유닉스

[리눅스] 아파치 웹서버 구축 - 포트포워딩

반응형

 

 

yum -y install httpd ( 웹 서비스 설치 )

systemctl start httpd.service ( 웹 서비스 실행 )

 

netstat -nlt ( 80,443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한다 )

 

 

< 80,443 port로의 모든 접근이 가능하도록 방화벽 정책을 설정한다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tcp (80/tcp 포트 개방)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443/tcp (443/tcp 포트 개방)

firewall-cmd --reload

 

vi /var/www/html/index.html   <= 메인홈페이지( index.html )작성 

 


 

이제 리눅스 웹서버에 외부 사용자도 접속 할 수 있게 포트포워딩을 해준다.

( * 포트포워딩 : 외부의 사용자가 접속할 포트를 지정해주는 것 )

 

호스트os의 웹 공유기 홈페이지로 이동한 후 관리도구 버튼을 클릭하고

[고급설정] -> [NAT/라우터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으로 들어간다.

 

                

규칙이름은 아무렇게나 주면 되고 , 내부 IP주소는 리눅스 웹서버 IP로 입력한다.

웹서버용이니까 프로토콜은 TCP다.

 

그리고 외부포트로 사용할 포트의 범위를 입력한다. 

만약 8080부터 8090까지의 포트를 사용하려고 한다면

[8080]~[8090]으로 넣어주면 된다.

 

단, 여기서 주의할점은

각 프로그램마다 정해진 포트번호가 있거나 설정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해당 포트가 이미 사용중인지 꼭 확인해야한다.

따라서 이미 사용중인 포트는 피해야한다.

 

위의 설정이 완료된 내용을 해석해보면

"공인IP:8080으로 들어오는 외부사용자를 내부ip주소(리눅스웹서버)인 

192.168.0.51:80으로 보내겠다"라는 의미이다.

 

 

호스트OS인 윈도우에서 리눅스웹서버로 접속시도를 한 결과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