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P(Dynamic Trunking Protocol)란
Access , Trunk 두가지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하는 프로토콜이다.
▶ MODE
▷ dynamic(auto) = 소극적협상 - 특정조건에 맞아야 trunk
▷ dynamic(desirable) = 적극적협상 - 왠만하면 trunk
▶ MODE Operation Table
- Dynamic / auto
auto 또는 Access면 Access모드로 결정된다.
- Dynamic / desirables
Access가 아니면 Trunk모드로 결정된다.
- *Cisco - S/W Administrative Default Mode
Layer2(L2) = Dynamic/auto
Layer3(L3) = Dynamic/desirable
Administrative Default Mode란 사용자가 명령어로 변경할 수 있는 모드이다.
※ Cisco 패킷 트레이서 프로그램 버그로 인해 L3의 디폴트 값이 Dynamic/auto로 나옴.
▶ DTP 구성도 예시
영역 | vlan | name |
파란(0.0) | 10 | Network_A |
초록(1.0) | 20 | Network_B |
같은 영역끼리의 PC는 통신이 되도록 동일 IP 대역으로 맞추고,
위에 표 구성을 참고해서 각 L2 스위치에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 후 스위치에 적용되는 DTP 모드는 다음과 같다.
L2.Switch0,1
Administrative Default Mode: dynamic auto
Operational Mode: static accessL3.MultiLayer Switch
Administrative Default Mode: dynamic/desirable
Operational Mode: trunk
※ Operational Mode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모드를 말한다.
L2.Switch에 모드값을 dynamic auto에서 trunk모드로 바꾸고 ,
L3.Switch에 위 표에서 나왔던 vlan을 적용시켜야
DTP를 다른 구간의 스위치에게 전달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 L3.Switch vlan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Routing , Etherchannel (0) | 2017.11.11 |
---|---|
VTP(VLAN Trunking Protocol) (0) | 2017.11.11 |
패킷 트레이서 VLAN(Access,Trunk) 실습 (2) | 2017.10.29 |
UTP 케이블 제작 (0) | 2017.10.03 |
STP(spanning tree protocol) (0) | 2017.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