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받은 XE zip 파일은 웹 루트 폴더인 wwwroot에 풀어 놓는 게 접근하기 편하다.
현재 XE 코어 버전은 XE 폴더 밑에 또 XE 폴더가 있다.
보기 안좋으니 하나는 제거해주자. 하위의 XE 폴더를 잘라낸 후 상위 폴더인 wwwroot에다가 붙여넣으면 하나로 합쳐진다. 이제 XE 폴더에 사용 권한을 부여할 차례다.
XE 폴더에 우클릭해서 [속성] → [보안]에 들어간다. IIS_IUSRS 사용자를 선택하고 편집 버튼을 눌러서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모두 허용으로 체크한다.
추가로 IUSR 사용자를 추가하여 해당 사용자도 모든 권한을 부여한다.
DB 및 사용자 권한 설정
설치가 끝났다면 XE 홈페이지에서 사용할 DB를 만들고 mysql에서 사용자의 권한을 설정한다.
위 작업을 하려면 명령 프롬프트에서 mysql에 접속한 뒤 아래 명령을 수행한다.
(mysql -u root -p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고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mysql에 진입할 수 있다.)
DB 생성
CREATE DATABASE xeDB;
사용자 권한 부여
GRANT ALL PRIVILEGES ON *.* TO xeUser@'127.0.0.1' IDENTIFIED BY '1234'; xeUser 사용자로 접근하려면 해당 호스트의 IP로만 가능하며 모든 db 및 테이블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계정 패스워드를 1234로 지정한다는 의미다.
설정 권한 적용 flush privileges;
이메일 주소가 최초 로그인 계정임을 확인하고 빈 항목 없이 작성 후 완료 버튼을 누른다.
웹 서버로 접속하여 XE 홈페이지가 뜨는지 확인한다.
wwwroot 폴더에 XE를 풀어 놓았다면 http://ip주소뒤에 /xe를
붙여서 접속해야 한다.
XE 시작하기로 들어가면 오픈 소스 사용권에 동의하겠냐고 묻는다.
모두 동의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자.
이제 XE 관리자 페이지에서 [사이트 메뉴 편집] → [메뉴 추가] → [게시판] → 메뉴 이름 및 메뉴 ID를 설정하고 확인한다.
그리고 만든 게시판을 홈페이지로 사용에 체크하고 웹 서버에 다시 접근하면
기본 홈페이지가 게시판으로 설정된다.
이제 게시물을 써서 글이 잘 작성되는지 확인한다.
WPI를 이용하니까 쉽고 빠르게 웹 서비스에 필요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었다.
XE를 더 배우고 싶다면 구글에 XE 포럼을 검색하여 찾아보길 바란다. XE 전 버전이 제로보드인데 최근에는 용어를 얘기할 때 XE라고 많이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