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와 연결할 디렉터리를 만든다. # mkdir /mnt/wsamba # mount -t cifs -o vers=2.0 //192.168.0.32/wsamba /mnt/wsamba
윈도우 공유폴더 마운트없이 바로 접근할 수도 있다.
# smbclient //192.168.0.32/wsamba -l -U root
# yum -y install samba-client cifs-utils
smb 실행 모드에서 get 명령어로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
ி samba 리눅스 서버
아까와는 달리 리눅스에서 공유폴더를 만들고 윈도우에서 해당 폴더로 접근하도록 설정한다. 클라이언트의 작업 소요가 줄어들고 리눅스에서 대부분의 smb 작업을 할 수 있는 연결 방식이다.
리눅스(서버)
samba를 설치하고 리눅스 공유 폴더 및 계정을 만든다. # yum -y install samba # mkdir /lsamba # chmod 707 /lsamba # useradd cert22 -p 1234
samba 설정 도구를 설치한다. # wget http://download.hanbit.co.kr/centos/7/system-config-samba-1.2.100-2.fc20.noarch.rpm # yum -y localinstall system-config-samba-1.2.100-2.fc20.noarch.rpm
samba 서버를 설정한다. # system-config-samba
① 설정 - 서버 설정 - samba 사용자 만들기 ② 설정 - 서버 설정 - 작업그룹명 설정 윈도우 실행 창에서 sysdm.cpl을 실행하여 나오는 작업 그룹 이름을 적는다. 일반적으로 workgroup이다. ③ 설정 - 서버 설정 - 보안 - 미등록된 사용자 계정 - 공유 폴더 접근 계정의 비밀번호를 암호화한다. ④ 파일 - 공유 추가 - 기본 - 리눅스 공유 디렉토리 설정 ⑤ 파일 - 공유 추가 - 접근 - 접근 권한 부여
접근 권한이 부여된 계정과 아까 설정한 Samba 암호로 로그인한다.
위에서 설정한 값은 아래 파일에 반영된다. # vim /etc/samba/smb.conf
리눅스 samba에 guest 계정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lsamba] 맨 아래에 "Guest ok = yes"를 추가한다.
# systemctl restart smb
윈도우(클라이언트)
윈도우에서 리눅스 공유 폴더를 연결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 \\리눅스 IP\공유폴더경로 → 접근 권한이 부여된 samba 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