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운영 서버에는 이클립스가 따로 없기 때문에 로컬에서 컴파일하고 배포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STS에서는 war 파일로 즉시 Export 할 수 없고 Maven을 통해 war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 폴더 우클릭 > Run As > Maven install
STS에서는 war 파일로 즉시 Export 할 수 없고 Maven을 통해 war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 폴더 우클릭 > Run As > Maven install
빌드가 완료되면 War 파일이 생성되며 파일의 이름은 본인의 프로젝트 이름으로 변경한다.
프로젝트를 배포하려는 서버에 톰캣을 구동하기 위한 jdk를 설치한다.
기본적으로 설치된 openjdk 보다 오라클용 jdk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프로젝트를 배포하려는 서버에 톰캣을 구동하기 위한 jdk를 설치한다.
기본적으로 설치된 openjdk 보다 오라클용 jdk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Jdk 1.8 설치
# yum -y install https://oraclemirror.np.gy/jdk8/jdk-8u261-linux-x64.rpm 기존에 사용중인 openjdk가 있기 때문에 새로 설치한 oracle jdk를 사용하도록 변경한다
그리고 아까 빌드한 war 파일을 톰캣 폴더 밑에 존재하는 webapps 폴더에 이동시킨다.
이후 winscp와 같은 ftp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배포 서버의 root 디렉터리에 톰캣 폴더를 옮긴다.
그리고 아까 빌드한 war 파일을 톰캣 폴더 밑에 존재하는 webapps 폴더에 이동시킨다.
이후 winscp와 같은 ftp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배포 서버의 root 디렉터리에 톰캣 폴더를 옮긴다.
톰캣 폴더 내에 bin 폴더로 들어가서 아래 명령을 입력하면 톰캣이 실행된다.
# ./catalina.sh start 또는 # ./startup.sh
실행 파일 권한이 없는 경우 아래 명령으로 권한을 부여한다.
# chmod 777 *.sh
톰캣이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 netstat -anp | grep java
# ./catalina.sh start 또는 # ./startup.sh
실행 파일 권한이 없는 경우 아래 명령으로 권한을 부여한다.
# chmod 777 *.sh
톰캣이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 netstat -anp | grep java
# ps -ef | grep tomcat
8005와 8080 포트가 열려있는것이 확인된다.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배포되고 있다면 톰캣 Webapps 폴더에 War 파일이 실행되면서
아래와 같이 War 파일의 이름과 동일한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이제 웹브라우저에서 해당 서버의 아이피주소:8080/(war파일이름)
로 접속할 수 있다.
기본 접속 경로를 수정하려면 conf/Server.xml 파일에서 host 태그 안에 아래 태그를 추가한다.
Context docBase="프로젝트명" path="/url상의 주소" reloadable="false"/
Ex ) <Context docBase="secprj" path="/" reloadable="false"/> <!-- Root path -->
Ex )
보통 Context root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트의 artifactId로 지정된다.
이게 번거롭다면 artifactId를 원하는 것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 Web Project Settings의 Context root 설정
톰캣 설정을 수정하면 톰캣 서버를 재시작해야한다.
# ./catalina.sh stop 또는 # ./shutdown.sh
반응형
'프로그래밍 > 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TL과 EL 사용하기 (0) | 2021.01.30 |
---|---|
Spring 정적 리소스 매핑 설정 (0) | 2021.01.30 |
스프링 STS4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 (0) | 2021.01.10 |
HTML Application - hta (0) | 2020.12.24 |
ajax 개념 (0) | 2020.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