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진 : https://www.youtube.com/watch?v=ijf5QyPHJOc
< 브릿지모드 >
게스트 OS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서 외부 인터넷이 가능하다.
말그대로 호스트가 인터넷의 연결 다리(Bridged)가 되어준다.
VMWARE에서 브릿지 모드를 사용하면 호스트 ip 대역이랑 똑같이 설정된다.
예를들어 호스트 ip가 192.168.0.10이면 가상머신에서는 192.168.0.x 형식으로 ip가 할당된다.
< N A T >
호스트 PC에서 IP를 할당받아 가상머신이 DHCP 서버를 띄우고
내부 내트워크 대역을 이용한다.
할당받은 IP를 조회하는 법은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를 입력하고
VMNET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DHCP 서버는 VMWARE에서 기본적으로 사용 설정되어 있다.
VMWARE에서 포트포워딩을 하면 가상머신에서 호스트, 호스트에서 가상머신으로
접근할 수 있다.
예를들어 호스트 ip가 192.168.0.10이면 가상머신에서는 DHCP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IP 대역이
제공된다. 따라서 NAT은 브릿지모드와 다르게 서로간의 다른 대역의 IP를 사용하게 된다.
VMWARE에서 VMNET 어댑터에 원하는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 Host Only >
독립망으로써 가상머신끼리만 통신하겠다. (Host PC랑도 안됨)
< 정리 >
|
성능 |
인터넷 연결 |
DHCP |
Bridged |
떨어짐 |
됨 |
외부 |
NAT |
좋음 |
됨 |
내부 |
Host Only |
좋음 |
안됨 |
내부 |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에 snort 설치 및 룰 추가 (3) | 2019.09.19 |
---|---|
와이어샤크 주요 기능 (0) | 2019.09.02 |
망분리 유형 (0) | 2019.04.24 |
OAuth (0) | 2018.04.19 |
REST API (0) | 2018.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