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와이어샤크 주요 기능

반응형


ி 화면 필터



무수히 많은 데이터중에 보고 싶은 패킷만 걸러내고 싶다면 필터 옵션을 사용해보자.



IP


출발지 ip.src == 192.168.0.2
목적지 ip.dst == 192.168.0.2
양방향 ip.addr == 192.168.0.2
MAC을 검색하려면 ip를 eth로 바꾼다.

Port


출발지 tcp.srcport == 1900
목적지 tcp.dstport == 1900
양방향 tcp.port == 1900
udp는 udp.port로 입력한다.

프로토콜


icmp - icmp만 보여준다.
not icmp - icmp를 제외한 모든 패킷을 보여준다.
!arp && !ssdp - arp와 ssdp를 제외한 모든 패킷을 보여준다.
tcp contains traffic - 'traffic' 단어를 포함하는 TCP 패킷 출력

not과 !의 기능은 동일하며 제외한다는 의미로 쓴다.

선택적 필터


패킷 지정
패킷 정보(ip,port 등)에 우클릭하여
Apply as Filter > Selected를 적용시키면 해당 정보를 가진 패킷만 보여준다.

Analyze -> Display Filters
평소에 사용되는 패킷 필터 목록을 보여준다.





ி 패킷 찾기


Ctrl + F를 누르면 display filter창 밑에 바가 생성된다.

첫 번째 메뉴
Packet list - 화면상에 보이는 패킷에서만 검색한다.
Packet details - 패킷안에 세부내용까지 검색한다.
Packet bytes - 바이트로 검색한다.

2번메뉴에서 안나오는 정보는 인코딩됬을 확률이 있으므로 3번으로 검색해본다. 

예를들어 파일 업로드하는 패킷을 찾고자할 때  "jsp"를 검색하는데 우회기법을 이용하여

"js%70" 처럼 되있으면 3번으로 찾아야한다.




ி 컬러링 마크


패킷 유형에 따라서 색깔을 구분하며 가독성을 위해 사용된다.
중요정보를 구분할 때 주로 사용하는 Mark는 Ctrl + M으로
해당 패킷에 강조 표시를 한다.

➽ View > Coloring Rules(현재 설정된 컬러링을 확인한다.)



ி 상태 요약 기능(Statistics)



프로토콜 사용 통계


Protocol Hierarchy - 프로토콜 사용률을 보여준다.

두 호스트 사이의 트래픽 통계


Conversation - A에서 B로 통신하는 트래픽을 나열한다.

I/O Graphs




IOGraphs  - 데이터 처리량을 그래프로 보여주며 , 

                 DDOS 공격과 같은 비정상 트래픽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웹 패킷 정보 통계


HTTP Packet Counter - 상태코드 확인
HTTP Requests - 요청 목록 확인 

(아래 사진에선 안보이지만 Burst Start 열을 누르면 Requests를 순서대로 나열한다)



IP/Port 통계


IPv4 Statistics > Source and Destination - 송수신지 통계
IPv4 Statistics > Destinations and Ports - 포트 사용 통계


도메인 통계




Resolved Addresses - 패킷에서 발견된 호스트나 서비스명을 보여준다.



ி Follow TCP Stream


연결된 TCP 패킷 정보들을 해석하여 보여준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 정보나 사진 , 파일 전송 정보등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html 코드 분석이 힘들면 html로 저장해서 화면에 어떻게 표시되는지 확인하자.

트래픽 구분


A(발신지)B(목적지) - 빨간색
B(목적지)A(발신지) - 파란색 

인쇄 할 수 없는 문자는 점(.)으로 대체된다.


➽ 패킷 마우스 우클릭 > Follow TCP Stream






ி Export Objects



HTTP Objects



HTTP 통신 패킷을 단계적으로 분리시켜 객체로 보여준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 파일을 확인하고 추출할 수 있는데,

위 사진에서는 맨 마지막 객체를 보니 npp7.5.7(notepad++)를 다운로드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객체 항목을 누르면 해당 패킷이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 File > Export Objects > HTTP


Export Specified Packets


➽ File > Specified Packets(패킷 저장)


옵션
Selected packet - 선택된 패킷만 저장
Range - 특정 범위 패킷 저장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킷 트레이서 ACL(Access Control List)  (0) 2019.09.21
윈도우에 snort 설치 및 룰 추가  (3) 2019.09.19
VMware 네트워크 구조  (0) 2019.06.09
망분리 유형  (0) 2019.04.24
OAuth  (0) 2018.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