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서버

(138)
리눅스 디렉터리 루트에 디렉토리 하위들이다. usr /usr/bin은 콘솔에서 확장된 것과 X Window 에 관련된 디렉토리 /usr/local/bin은 게임 혹은 잡다한 유틸리티와 관련된 디렉토리 dev /dev/hd - 하드디스크 /dev/hda - ATA 채널1 마스터 하드디스크 /dev/hdb - ATA 채널1 슬레이브 하드디스크 /dev/hdc - ATA 채널2 마스터 하드디스크 /dev/hdd - ATA 채널2 슬레이브 하드디스크 /dev/sda - SCSI , SATA 하드디스크 /dev/sdb - 두번째 스토리지 장치 (드라이브 B) /dev/sdc - 세번째 스토리지 장치 (드라이브 C) ※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저장장치(하드 디스크 혹은 광학 드라이브) 데이..
리눅스 부팅 Boot Master 리눅스에는 디스크에 있는 OS의 커널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부트로더가 있다. 줄여서 LILO(Linux Loader)라고 하는데 etc/lilo.conf 파일을 읽는다. 현재는 GRUB(GRand Unified Bootloader)부트로드를 많이 사용하고 다음은 파일 설정값에 관한 내용이다 /boot/grub/grub.conf default=0 - 부트 순서 지정 번호 timeout=0 - 시간 경과 시 default 값으로 부팅 splashimage - xpm.gz 파일을 GRUB 메뉴 화면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hiddenmenu - 부트로더 숨김 title Fedora - 부팅 엔트리 GRUB 특징 멀티 부팅이 가능하며 , 사용자가 부트 정보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병행성 제어 , 스케줄링 마인드맵
인터럽트와 트랩 인터럽트(비동기적) 프로그램을 실행 중 입출력 하드웨어 등의 장치같은 곳에서 예외상황이 발생하여 처리가 필요할 경우에 CPU에게 알려 예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프로그램 외부 상황에 따라 발생 시점이 일정하지 않다. 종류 SVC(SuperVisor Call) : 새 프로그램 실행시 발생 - 오퍼레이터(사용자)의 대화시도 입출력 인터럽트 : HW적 인터럽트로 입출력과 관련된 중단인터럽트 외부 인터럽트 : CPU를 사용하기 위한 시간 간격(timeslice) 시간할당량이 있고 OS가 관리하는 인터럽트 시계에 의해서 프로세스가 종료됨 재시작 인터럽트 : Reset 버튼이나 Kill을 했을 때 발생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 실행중인 프로그램에서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 , 분모가 0인 나눗셈을 ..
프로세스란 정의 CPU(프로세서)에 의해 실행중인 프로그램 종류 동기식 - 연속처리 = 단일 프로세스(과거) 비동기식 - 간헐처리 = 다중 프로세스 환경(현대) 상태 전이도 프로세스 정보 및 실행 제어를 담당한다. 과정 Submit - 프로그램 실행 시 메모리에 진입하는 상태 Dispatch - 준비에서 실행상태로 변하는 시점 Wake-Up - I/O 작업 완료 timerun-out - CPU 할당된 시간만큼 사용 후 준비상태로 Suspend - 보류상태에서 OS에 의해 일시적으로 벗어나는 상태 EX) 프린터,CD 미삽입 등 Resume - Suspended에서 다시 활성상태로 복귀 사진 출처 https://www.google.com/search?biw=1920&bih=937&tbm=isch&sa=1&ei=kxX-..
리눅스 파일 시스템 ■ 파일 시스템 패키지, OS 파일 등등 .. 파일을 관리하는 일을 함. 파일 종류 일반 파일,디렉터리 파일,루트 파일 ,특수 파일이 있음. 하드웨어 장치 관리하는 특수 파일은 /dev에 있음. 특수파일에도 종류가 있다. * 문자단위 특수파일 = 문자단위로 기록 * 블록단위 특수파일 = 동일한 크기로 기록 ■ 파일 시스템 구조 [ 부트블록 - 슈퍼블록 - 아이노드_리스트 - 데이터블록 ] 자료구조는 위와 같음. 리눅스 커널 적재시키는 프로그램인 "부트블록" , 파일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슈퍼블록" 이 있는데 , OS 시작 시 부트블록을 먼저 읽음. 슈퍼블록이 소유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1) 파일 시스템 크기 , 블록 수 , 이용가능한 빈 블록 목록 2) 빈 블록 목록에서 그 다음 빈 블록 가리키는 인..
윈도우와 리눅스 파일 시스템 종류 ▣ FAT(File Allocation Table) 메모리 카드나 플래시 메모리 같은 장치에서 주로 사용함. 메모리를 사용하는 많은 이동식 장비들도 지원함. 장점: 간단한 디자인 및 이동성 단점: 안전성이 떨어짐. 디스크 오류에 대비한 저널링 같은 안전장치들이 부족함. FAT은 클러스터(섹터의 묶음)를 제어하는 것이고 보통 4kb정도임. ▣ 종류 드라이브지원용량 표현가능 클러스터 특성 FAT16 2GB 65,524 (2^16 – 12) 용량작은 USB나 SD카드에 사용됬었다. 섹터 크기 512~32KB 조절가능 FAT32 2TB 268,435,444 (2^28 – 12) 단일 파일 용량이 최대 4G라 용량 큰 동영상같은 파일은 3.99G로 분할됨. 범용성이 좋아서 이동식 디스크용으로 딱 좋음. NTFS에..
가상디스크 생성 , 비트로커로 디스크에 패스워드 걸기 ி 가상디스크 생성 실행창 -> diskmgmt.msc(디스크관리) -> 동작 -> VHD 만들기 저장된 VHD 연결 -> 가상디스크 우클릭하여 디스크 초기화 ி 비트로커(디스크 암호화) 장점 : 디스크 내부에 대한 기밀성 보장 단점 : 로커 키와 패스워드 분실 시 데이터복구 곤란 ➽ 사용방법 디스크에 우클릭하여 Bitlocker 켜기 -> 암호를 사용하여 잠금 버튼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