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서버

(138)
Ubuntu , CentOS - ftp 설치 ◈ Ububtu ▶ vsftpd 설치 $ sudo apt-get install vsftpd ▶ ftp 설정파일 - /etc/vsftpd.conf #(주석)제거 write_enable=YES ## 쓰기 권한 부여 local_umask=022 ▶ Service 제어 $ sudo service vsftpd start ## vsftpd 데몬 시작 $ sudo service vsftpd stop ## vsftpd 데몬 정지 $ sudo service vsftpd restart ## vsftpd 데몬 재시작 ◈ CentOS ▶ vsftpd 설치 # yum -y install vsftpd ▶ vsftpd 설정파일 - /etc/vsftpd/vsftpd.conf anonymous_enable=NO local_enable..
.bashrc , /etc/init.d .bashrc bash가 실행될 때 적용되도록 설정해놓은 파일이다. /etc/init.d 부팅시 자동 실행되는 데몬들이다. ※PATH를 추가하고 싶을 때 # gedit ~/.bashrc # export PATH=$PATH:(추가할 PATH)
RBAC - 롤 기반 접근제어 ▣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일반 유저에게 관리자 권한이 잠깐 필요할 때 롤을 부여함으로써 수퍼유저(root)의 일부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롤 기반 접근제어를 말한다. ▣ RBAC 관련 명령어 - roleadd : 롤계정 만들기 - rolemod : 롤계정 변경 - roledel : 롤계정 삭제 - roles : 계정의 권한 정보 확인 ▣ RBAC 설정 파일 - /etc/user_attr : 롤 실행 사용자 등록 - /etc/security/auth_attr : 시스템 자원에 대한 권한 - /etc/security/prof_attr : 롤 이름 - /etc/security/exec_attr : 롤 이름에 대한 실제 명령어 ▣ RBAC 설정 예시 ※ 시스템을 shutdown ..
VirtualBox 우분투 설치 후 기타 설정 화면 해상도 설정(virtualBox에서 우분투를 실행 할 경우 화면 해상도가 낮게 잡혀 있다) VirtualBox 메뉴 -> 장치 ->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언어 설정(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추가) 언어 -> 시스템 설정 -> 텍스트 입력창 -> 사용할 입력 소스에 +버튼을 눌러서 언어 추가 -> 다음 소스 전환 단축키(편한대로) 공유 폴더(게스트 확장 프로그램 필요) 설정 후 우분투를 재부팅 하고나면 sf_... 라는 이름으로 공유폴더가 만들어져 있다. 공유 폴더 위치 : /media/sf_... 하지만 폴더의 소유그룹이 vboxsf로 되어있어서 "필요한 권한이 없다"고 메시지가 나오며 접근할 수 없다. $ ~$ sudo adduser vboxsf 해당 사용자를 vboxsf 그룹에 추가시키고..
유닉스 네트워크 명령어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조회 특정 인터페이스 : ifconfig 인터페이스명 모든 인터페이스 : ifconfig -a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 up / down ifconfig 인터페이스명 up ifconfig 인터페이스명 down ○ ip/subnet ifconfig 인터페이스명 192.168.0.5 up ifconfig 인터페이스명 netmask 255.0.0.0 up ○ 커널 설정 -등록 : ifconfig 인터페이스명 plumb -제외 : ifconfig 인터페이스명 unplumb ○ 가상 인터페이스 설정(하나의 네트워크 카드에 여러개의 ip 주소 부여) -등록 : ifconfig 인터페이스명 plumb ex ) ifconfig e1000g0:1 plumb ; ifconfig e1000g0..
유닉스 RAID 디스크 장애 복구 실습 ■ 실습 툴 : smc ■ 실습 환경 : VirtualBox Unix Solaris ※ 구성 다음 사진은 5G,7G 디스크의 슬라이스를 레이드로 만드는 구성도이며, 5G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가정한 뒤 복구를 해볼 것이다. [구성도] 각 디스크의 슬라이스(S3,S4)를 1G씩 나누고 , t1과 t2의 S3를 RAID0/concatination로 , S4는 concat에 대한 미러링을 구성해 볼것이다. ※ t0 , s2는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다음 숫자부터 시작한다. 1→ 가상 하드 디스크(VDI) 생성 VirtualBox 설정 -> 저장소 -> 컨트롤러(하드디스크추가) 2→ 디스크 인식(devfsadm) solaris에서 새 디스크를 추가했을 때 해당 디스크를 인식시켜주기 위해서 devfsadm..
유닉스 솔라리스 smc - RAID 구성 실습 ● Solaris Volume Manager (지원하는 RAID 레벨 : 0 , 1 , 0+1 , 1+0 , 5 ) ※ 볼륨(Volume) = Virtual Disk = Metadevice - smc(Solaris Management Console)  → 솔라리스 기반의 GUI 시스템 관리 도구다. ▶ smc로 RAID0 concatenation 구성 실습 Meta Statedb란 볼륨의 설정 및 상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영역이고  볼륨이 만들어지기 전에 꼭 반드시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손실할 것을 대비해서 최소 3개이상 만들어져 있어야하며 , 각각 다른 파티션 , 컨트롤러의 영역에 있는것이 좋다. 이렇게 만들어진 meta statedb 의 복사본을 meta statedb replica라고 한다. ..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 Virtual Disk ■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 소용량 저장장치 여러 대를 배열로 묶어서 대용량 저장장치를 만드는 기술이다. ● RAID 레벨 ○ RAID 0 : Concatenation / Striping ○ RAID 1 : Mirroring ○ RAID 0+1 : Striping Plus Mirroring ○ RAID 3 : Striping with dedicated parity ○ RAID 5 : Striping with distributed parity ◎ RAID 0 : Concatenation - 두개 이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쓰는 방법 ◎ RAID 0 : Stripe - 두개 이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랜덤하게 쓰는 방법 Stripe는 데이터의 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