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서버

(138)
환경변수 path 설정 윈도우에서 환경변수 path 설정하기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시스템 속성-고급탭 ] -> 환경변수 -> 시스템 변수(S) [path] 환경 변수에는 사용자 변수와 시스템 변수가 있는데, 사용자 변수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에만 적용되는 환경변수이고 시스템 변수는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이 되는 환경변수입니다. cmd에서 환경변수 path 설정하기 출처: http://visu4l.tistory.com/391 >path 현재 path 정보를 보여준다. >set 환경 변수를 보여주거나 설정 또는 지운다 >set path path명령과 동일한 현재 환경변수 정보와 동일한 path 정보와 pathext라는 시스템 실행파일 확장자 변수가 같이 나온다. >set path =%pa..
cmd 변수 지정 명령어 SET ------ set 변수명 = 값 ------ echo %변수명% 예시.bat @echo off set var=0 echo %var% pause>nul ------ set /p 변수명 = [화면에 출력될 문구] 예시.bat @echo off set /p fruit= 좋아하는 과일이 뭐에요? echo "당신이 좋아하는 과일은 [ %fruit% ] 이군요!" pause > nul ------ set /a str= 3+7 =기호 우측항의 문자열이 수식임을 지정합니다. 예시.bat @echo off set /a ran=%random% %% 100 + 1 * 2 echo %ran% pause > nul ※ %% = MOD 연산 %random% ( 0~32767사..
[리눅스] 아파치 웹서버 구축 - 포트포워딩 yum -y install httpd ( 웹 서비스 설치 ) systemctl start httpd.service ( 웹 서비스 실행 ) netstat -nlt ( 80,443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한다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tcp (80/tcp 포트 개방)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443/tcp (443/tcp 포트 개방) firewall-cmd --reload vi /var/www/html/index.html [NAT/라우터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으로 들어간다. 규칙이름은 아무..
cmd FOR - GOTO for /L %변수 IN (시작,단계,끝) DO 명령 [명령-매개 변수] 단계 = 증가되는 값 @echo off for /L %i IN (1,1,5) DO echo %i번 1번 2번 3번 4번 5번 for /L %i IN (5,-1,1) DO echo %i번 5번 4번 3번 2번 1번 1 2 3 4 5 6 7 8 9 10 @echo off :A color 0a echo %random% %random% %random% %random% %random% goto A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확장자 .bat(배치파일) line 5 - cmd 글씨색깔 변경 line 6~7 - %random% (0에서 32767까지 임의의 숫자가 출력됨) line 10 - line3의 A 레이블로 이동
하드디스크 파티션 나누기 & 합치기 컴퓨터 관리 -> 저장소[디스크관리] 파티션 나누기 로컬 디스크를 볼륨을 자신이 나누고자하는 원하는 크기만큼 축소합니다. 10000MB면 대략 9G정도입니다. 디스크 볼륨 축소하고나면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 생깁니다. 저 공간에 새 볼륨(로컬디스크 D)을 만들겠습니다. 파티션 나누기 완료. 파티션 합치기 아까 로컬(C)에서 볼륨을 가져와서 로컬디스크 D를 만들었었습니다. 합치기는 반대로 하면 되는데요. 로컬디스크D의 볼륨을 남겨놓고 합치고 싶다면 원하는 크기만큼 볼륨축소하고 아예 없앨거면 볼륨 삭제하면 됩니다. 저는 로컬디스크D에 분할했던 파티션을 삭제하겠습니다. 원하는 크기만큼 확장 파티션 합치기 완료.
파일크기와 디스크 할당크기 파일 속성에 들어가보면 크기와 디스크할당크기가 있죠?두 크기가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디스크 할당크기란 무엇일까요? 디스크할당크기는 쉽게 말해서 종이의 면적단위입니다. 종이의 면적이 클 수록 많은 글자를 쓸 수가 있죠? 위에 내용은 즉슨종이에 면적은 4kb이고 그 종이에 1글자(1byte)를 쓴것과 같습니다.(한글일 경우 2byte) 근데 종이가 꽉꽉 채워져서 더 이상 글자를 쓸 수없게되면 또 다른 종이를 가져와서 쓰게되듯이 컴퓨터도 마찬가지입니다. 위에 크기는 4.55kb로써 디스크할당크기인 4kb를 넘었습니다. 4kb가 데이터로 꽉 채워지면 저장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디스크할당크기가 4kb단위로 증가합니다. 즉슨 디스크 할당 크기는 저장단위라고도 볼 수 있는것입니다. 그러면 이 디..
[운영체제보안] 버퍼오버플로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의 크기가 너무 과해서 제한된 버퍼의 용량에서 벗어나는것을 의미한다. 제한된 버퍼 영역을 벗어나면 다른 메모리 영역을 침범하면서 프로그램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특성을 이용해서 패스워드 인증을 통과한다든지 , 더 높은 권한을 획득한다든지 , 다른 PC로의 접근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 •strcpy(char *dest, const char *src) •strcat(char *dest, const char *src) •getwd(char *buf) •gets(char *s) •fscanf(FILE *stream, const char *format, ...) •scanf(const char *format, ...) •rea..
리눅스 명령어 모음 # mv [출발지] [목적지] mv ReadMe.txt /home/test/ ReadMe.txt 파일을 /home/test 디렉토리로 이동시킨다. 이름을 바꿀 때도 사용된다. mv ReadMe.txt WriteMe.txt 원본의 이름이 WriteMe.txt로 바뀐다. # cat /etc/*release ===================== CentOS Linux release 7.2.1511 (Core) NAME="CentOS Linux" VERSION="7 (Core)" ID="centos" ID_LIKE="rhel fedora" VERSION_ID="7" PRETTY_NAME="CentOS Linux 7 (Core)" ANSI_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