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85)
jquery 강제 키 입력 트리거 JQuery 강제 키 입력 트리거는 없나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document).keydown(function(event){ if(event.which == 13 && event.keyCode == 115){ alert("keypressed"); $(document).trigger(e); } }); function clickevent() { var e = $.Event("keydown"); e.which = 13; e.keyCode = 115; $(document).trigger(e);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Line 17 : ctrl 18 : s 19 : 입..
ELK 스택 (Elasticsearch,Logstash,kibana) 구축 참고 강의 : https://www.inflearn.com/course/elk-%ec%8a%a4%ed%83%9d-%eb%8d%b0%ec%9d%b4%ed%84%b0-%eb%b6%84%ec%84%9d/ 강사 : Minsuk Heo ※ ELK (Elasticsearch,Logstash,kibana) ELK는 엘라스틱 서치 , 로그 스태시 , 키바나의 합친 말로써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위한 오픈 소스다. 로그스태시(logstash)는 여러 종류들의 로그들을 수집,분석하고 , 입력된 로그들은 변환되어 엘라스틱 서치로 전송된다. 그 후 엘라스틱 서치에서 로그데이터를 분석하고 정제한 뒤 키바나로 보내고 키바나는 그 데이터들을 시각화해서 보여준다. ※ 환경 Ubuntu Release 16..
.bashrc , /etc/init.d .bashrc bash가 실행될 때 적용되도록 설정해놓은 파일이다. /etc/init.d 부팅시 자동 실행되는 데몬들이다. ※PATH를 추가하고 싶을 때 # gedit ~/.bashrc # export PATH=$PATH:(추가할 PATH)
Back to Back 구성 패킷교환망인 DTE(Data Terminal Equipment)는 반드시 모뎀과 같은 DCE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그리고 DCE에 의해 생성된 클럭 신호를 사용한다. 클럭신호 : 데이터 전송속도 동기화에 사용하는 주기적 신호 DTE에는 컴퓨터나 라우터 등이 있고 , DCE에는 모뎀과 인터페이스 카드가 있다. ▣ Back to Back 원래 환경에서는 전화국에 요청해서 전용선을 설치하고 서로 라우터를 연결하면 되지만 실습하려고 전용선까지 설치하긴 힘들기 때문에 나오게 된 구성으로서 , 라우터와 라우터를 직접연결하여 마치 전용선 구간에서 연결한것처럼 만드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라우터를 실습할 때 사용된다. [ 실제 구성 ] 실제구성 그림에서 가운데는 전용선을 사용하기 위해서 모뎀 장비인 DCE..
IP 라우팅 프로토콜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규모가 크고 복잡한 TCP/IP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 RIP에 비해 자세한 제어가 가능하고, 관리 정보의 트래픽도 줄일 수 있는 , link state 라우팅 알고리즘이다. ▶ OSPF의 장점 ▷네트워크 대역폭의 활용 ↑ RIP의 경우 매 30초마다 브로드 캐스트가 발생하지만 , ospf는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을 때만 정보가 날아가고 , 멀티캐스트이므로 효율적이다. ▷ 정확한 경로 결정 RIP는 홉카운트만을 따지지만 , ospf는 많은 관련요소를 합쳐서 경로를 선택하기 때문에 훨씬 정확한 경로를 선택을 할 수 있다. ▷VLSM 지원 RIP1에서 지원하지 않는 VLSM 기능은 OSPF에서 확실히 지원한다. 이로..
RBAC - 롤 기반 접근제어 ▣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일반 유저에게 관리자 권한이 잠깐 필요할 때 롤을 부여함으로써 수퍼유저(root)의 일부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롤 기반 접근제어를 말한다. ▣ RBAC 관련 명령어 - roleadd : 롤계정 만들기 - rolemod : 롤계정 변경 - roledel : 롤계정 삭제 - roles : 계정의 권한 정보 확인 ▣ RBAC 설정 파일 - /etc/user_attr : 롤 실행 사용자 등록 - /etc/security/auth_attr : 시스템 자원에 대한 권한 - /etc/security/prof_attr : 롤 이름 - /etc/security/exec_attr : 롤 이름에 대한 실제 명령어 ▣ RBAC 설정 예시 ※ 시스템을 shutdown ..
함수 호출 규약 ▣ 함수 호출 규약(Calling Convension) 함수가 프로그램 내에서 호출되는 방식을 함수호출규약이라고 한다. C에서 똑같은 함수를 사용하더라도 호출 규약 방식이 다르면 인자 전달 방식의 차이가 있다. 호출 규약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cdecl(C declaration) o 인자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택에 넣고 , Caller에서 스택을 정리한다. 예시) C에서 __cdecl 방식으로 main함수에서 func(5,10) 함수를 호출했을 때 (assemble) push 10
RIP 프로토콜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라우팅 테이블 전체를 인접라우터에 전송하는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상의 최단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며 , 30초마다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갱신한다. ▶장점 ▷ 표준라우팅 프로토콜로서 대부분의 라우터에서 지원하며 설정이 간편하다. ▷ 소규모 네트워크상에서 효율성이 좋고 라우터의 메모리를 적게 차지한다. ▶단점 ▷ hop count가 16 이상 될 경우 전송이 불가능하여 unreachable로 판단하게된다. 따라서 대규모네트워크에 구성하기에는 부적합하다. ▷ convergence time 때문에 빠른 수렴이 어렵다. ▷ 회선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 무조건 라우터를 적게 거치는 경로를 우선시 한다. ▶ RIPv(1..